Sed(streamlined editor)
sed는 대화형 기능이 없는 편집기이다. 명령행에서 직접 편집 명령어와 파일을 지정하여 작업한 후 결과를 화면으로 확인한다. sed 편집기는 원본을 손상하지 않는다. 리다이렉션을 이용하여 편집 결과를 파일로 저장하여 확인할 수 있다.
1. 주소 지정
주소 지정이란 편집하고자 하는 행을 선택하는 것을 말한다. 이 주소는 숫자나 정규표현식 또는 둘의 조합으로 표현한다. 주소를 지정하지 않은 경우 입력 파일 전체 행에 대하여 작업을 진행한다.
sed ‘1,3p’ datafile
: datafile의 1행에서 3행까지 출력한다. p는 행을 출력하라는 명령어이다.
sed -n ‘/[Ll]ove/p’ datafile
: datafile에서 Love나 love를 포함하는 행만 출력한다.
2. 명령어와 옵션
2.1 명령어
a\ : 현재 행에 하나 이상의 새로운 행을 추가한다.
c\ : 현재 행의 내용을 새로운 내용으로 바꾼다.
i\ : 현재 행의 위에 삽입한다.
d : 행을 삭제한다.
l : 출력되지 않는 특수문자를 출력한다.
p : 행을 출력한다.
n : 다음 입력 행을 첫 번째 명령어가 아닌 다음 명령어에서 처리하게 한다.
q : sed를 종료한다.
r : 파일로부터 행을 읽어온다.
! : 선택된 행을 제외한 나머지 전체 행에 명령어를 적용한다.
s : 문자열을 치환한다.
2.2 옵션
-e : 다중 편집시 사용.
-f : sed 스크립트 파일 지정에 사용.
-n : 출력을 생략한다.
2.3
다중명령어를 사용하거나 주소 지정이 다른 주소 지정 범위와 중첩되는 경우에는 명령어들을 중괄호안에 넣고, 각 명령어의 끝에 세미콜론을 붙인다.
!는 명령어를 반전하는데 사용한다. 다음 예는 love를 포함하지 않은 행들을 삭제한다.
sed ‘/love/!d’ datafile
3. 메타문자
: grep 등과 마찮가지로 sed는 패턴검색을 위하여 특별한 메타문자를 제공한다.
^ : 행의 시작 지시자
ex) /^love/ : love로 시작하는 행
$ : 행의 끝 지시자
ex) /love$/ : love로 끝나는 행
. : 하나의 문자와 대응
ex) /l..e/ : l 다음에 두 글자가 오고 e로 끝나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행
* : 0개 혹은 임의의 임의 갯수
ex) / *love/ : 0개 혹은 임의 갯수의 공백 문자 후에 love로 끝나는 문자열을 포함한 행
[] : [] 사이의 문자 집합중 하나와 대응
ex) /[Ll]ove/ : Love 또는 love를 포함한 행
[^] : 문자 집합에 속하지 않는 한 문자와 대응
ex) /[^A-K]ove/ : A 와 K 사이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한 문자와 ove가 붙어있는 문자열
\(..\) : 태그로 저장할 수 있는 문자열 지정에 사용.
ex) s/\(lov\)able/\1er/ : 지정된 부분(lov)을 태그 1에 저장하였다가 사용한다. 태그를 참조하기 위해서는 \1을 사용한다. 태그는 9개까지 사용할 수 있다. 예제에서 lovable이 lover로 치환된다.
& : 검색열을 저장하여 치환열에서 사용할 수 있게한다.
ex) s/love/**&**/ : 검색열 love가 **love**로 치환된다.
\< : 단어의 시작 지시자
ex) /\<love/ : love로 시작하는 단어를 포함하는 행
\> : 단어의 끝 지시자
ex) /love\>/ : love로 끝나는 단어를 포함하는 행
x\{m\} : 문자 x를 m번 반복한다.
ex) /a\{5\}/ : a가 5번 반복
x\{m,\} : 적어도 m번 반복한다.
ex) /a\{5,\}/ : a가 적어도 5번 반복
x\{m,n\} : m회 이상 n회 이하 반복한다.
ex) /a\{5,10\}/ : a가 5회에서 10회 사이로 반복
4. 예제
4.1 출력 : p
sed ‘/love/p’ datafile
: 기본 설정에서는 모든 행을 표준 출력으로 내보낸다. 패턴 love가 있는 행을 찾으면 그 행을 한 번 더 출력한다.
sed -n ‘/love/p’ datafile
: 기본 설정에 의한 p 명령어의 동작을 제한한다. -n 옵션을 사용하면 love 패턴을 포함하는 행들만 출력한다.
4.2 삭제 : d
sed ‘3d’ datafile
: 3번 행을 삭제한다. 다른 행들은 기본적으로 한번 출력된다.
sed ‘3,$d’ datafile
: 3번 행부터 마지막 행까지 삭제한다. 그리고 나머지 행들이 출력된다.
sed ‘$d’ datafile
: 마지막 행을 삭제한다. 삭제된 행 이외의 모든 행들이 출력된다.
sed ‘/love/d’ datafile
: love를 포함한 모든 행을 삭제하고, 나머지 행들을 출력한다.
4.3 치환 : s
sed ‘s/love/peace/g’ datafile
: love를 peace로 치환한다. g플래그는 행 전체에 치환이 적용됨을 의미한다. g플래그가 없으면 행에서 맨 처음 등장하는 love만 peace로 치환된다.
sed -n ‘s/^love/peace/p’ datafile
: -n 옵션은 p플래그와 같이 사용되어 치환이 일어난 행만 출력한다.
sed ‘s/[0-9][0-9]$/&.5/’ datafile
: &는 검색열에서 지정한 문자열을 대신한다. 즉 두자리 숫자로 끝나는 행은 그 숫자들에 .5가 추가된다.
sed -n ‘s/love/peace/gp’ datafile
: love가 peace로 치환된 행들만 출력한다. -n 옵션이 p 명령어와 함께 사용되어 출력을 간단하게 줄여준다. g플래그는 각 행에서 전체 치환이 일어나게 한다.
sed ‘s#3#99#g’ datafile
: s 명령어 바로 다음에 오는 문자는 검색열과 치환열을 구분해주는 구분자이다. 기본적으로 /를 구분자로 사용하지만, 다른 문자로 바꾸어 쓸 수 있다. 이는 / 자체를 포함하는 문자열을 검색할 때 유용하다.
4.4 행의 선택 범위 : 쉼표(,)
sed -n ‘/love/,/peace/p’ datafile
: love가 나오는 행과 peace가 나오는 행 사이의 모든 행들이 출력된다. love가 peace 다음에 나오면 love가 나오는 행부터 마지막 행까지 출력된다.
sed -n ‘5,/^love/p’ datafile
: 5번째 행부터 love로 시작하는 행까지 출력한다.
4.5 다중 편집 : e
sed -e ‘1,3d’ -e ‘s/love/peace/’ datafile
: 첫 번째 명령은 1행부터 3행까지 삭제하고, 두 번째 명령은 love를 peace로 치환하는 것이다.
4.6 파일로 부터 읽기 : r
sed ‘/love/r newfile’ datafile
: newfile의 내용을 읽어 datafile의 패턴 love를 찾은 곳에 삽입한다. 패턴이 여러번 나오면 매번 중복해서 출력된다.
4.7 파일로 쓰기 : w
sed -n ‘/love/w newfile’ datafile
: love를 포함하는 행들이 newfile에 저장된다.
4.8 붙이기 : a
sed ‘/^love /a\ -----’ datafile
: 패턴 love로 시작하고 공백문자가 있는 행 다음에 명령어 a\뒤의 문자열을 추가한다.
4.9 삽입 : i
sed ‘/love/i\ -----’ datafile
: 패턴 love를 찾은 후 명령어 i\ 다음에 오는 텍스트를 love가 포함된 행 위에 삽입한다.
4.10 종료 : q
sed ‘5q’ datafile
: 5행까지 출력한 후 sed프로그램 종료한다.
sed ‘/love/{ s/love/peace/;q; }’ datafile
: 패턴 love를 찾은 행에서 love가 peace로 치환되고 q 명령어로 sed 종료한다.
다중명령어 처리시 중괄호를 사용하며, 이때 각 명령어의 끝에 세미콜론을 붙인다.
5. 맺음말
이상으로 간단하면서 유용한 sed 편집기에 대하여 알아보았다. 더 자세한 내용은 man페이지를 참조하시라.
참고 서적 : 유닉스 쉘 바이블 (피어슨에듀케이션코리아)
출처 : 슈퍼유저코리아
'[Developer] > Linux,Windows,macO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에서 링크 거는 법 (0) | 2010.05.04 |
---|---|
파일 안의 내용 검색하기 (0) | 2010.03.04 |
VMware로 설치한 리눅스에서 Ping이 날려지지 않을때 (0) | 2009.10.05 |
Erlang 리눅스에 초간단 설치법 (0) | 2009.09.29 |
리눅스 설정관련 명령어 모음 (0) | 2009.09.28 |
댓글